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네트워크장비
- 웹포렌식
- 네트워크구성
- 포렌식
- 리소스공유
- REGA
- 역공학
- 프로토콜
- 엑스트라넷
- 디버거
- ISA
- 원격접속툴
- 로그분석
- 프록시
- 리버스 엔지니어링
- 컴퓨터네트워크
- hxd
- 허브
- 인트라넷
- 보안대책
- 기계어
- 리버싱
- 네트워크목적
- CSMA/CD
- WEFA
- MAC 주소
- WebGoat
- 보안위협
- 디컴파일러
- 버프 스위트
- Today
- Total
목록네트워크 따라잡기 (5)
IT 따라잡기 시리즈
MAC 주소 우리는 저번에 이더넷이라는 것을 배웠는데, 이더넷은 보통(모든 경우는 아니지만) LAN(Local Area Network), 즉 가까이 있는 컴퓨터들을 연결하는데 주로 쓰인다. 그리고 컴퓨터가 이 이더넷 방식을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것까지 알고 있다. 하지만 하나 의문이 생긴다. "네트워크 상에는 많은 수의 컴퓨터가 있는데 어떻게 특정 정보가 나에게로 온 정보인지 알 수 있을까?" 이 말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예시를 하나 들어보자. A는 B에게 "오늘 5시에 만나자"라는 문자를 보냈다. 네트워크 상에는 A와 B 뿐만아니라 C, D 등도 있다고 해보자. A가 보낸 문자는 B 뿐만 아니라 C와 D도 같이 받는다. 하지만 C와 D는 "이건 나한테 온 문자가 아니구나!" 하고 문자를 버렸다..
허브란?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들이 모두 연결되어있는 상태여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. 그리고 장비들을 연결하는 것이 전선/케이블이라는 것 또한 알고있다. 하지만 네트워크상의 장비들이 많아지면 문제가 발생한다. 장비가 3대있으면 케이블을 3갈래로 나누어 연결하고 4대 있으면 4갈래로, 5대 있으면 5갈래로... 각 장비에 맞춰 케이블을 끊고 연결하는 것이 번거로울 뿐더러 새로운 장비가 들어오면 이 작업을 다시해야한다. 너무 비효율적이다.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케이블 중 우리가 가장 잘 알고있는 케이블은 랜선일 것이다. 랜선의 끝을 보면 마치 콘센트처럼 무언가에 꽂을 수 있도록 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다. 허브는 다수의 포트를 가져 연결과 제거가 용이함과 동시에 리피터(증폭기)역할을 할 수 있다. ..
인터넷 우리가 여러대의 컴퓨터와 장치를 연결해 소규모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하자. 각 장비들끼리의 자원을 공유할수는 있겠지만 우리는 여기서 만족할 수 없을 것이다. 우리가 평소 이용하는 검색엔진, 동영상 공유 사이트 등은 인터넷이라는 매우 커다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다. 따라서 이러한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에 연결해야한다. 정리하면 인터넷이란,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네트워크로 수십억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있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한다. 인트라넷 만약 회사의 기밀정보(사업 계획, 설계도면 등)이 유출되거나 군사기밀이 유출되면 당연히 우리는 그게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. 하지만 회사든 군기관이든 일단 컴퓨터를 써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작업(문서 작..
저번 시간에 네트워크, 그 중 컴퓨터 네트워크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. 이번엔 컴퓨터 네트워크가 구성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알아보자. 네트워크 장비 우리가 종이컵 전화기를 이용할때 컵과 실이 필요했듯이,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도 송수신 장비 및 이를 연결해줄 어떤 수단이 필요하다. 하나 하나 살펴보자. 전선(케이블) : 신호를 실어나를때 이용하는 장비이다. 우리가 아는 것으로는 랜선이 있으며 보다 긴 범위에서 이용할때는 구리선, 광케이블 등을 이용한다. 모바일 장비와 같이 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장비는 신호발생기로 일정한 전자기 주파수를 쏘아주면 전선과 같이 신호를 먼 곳으로 전달할 수 있다. 증폭기 : 신호가 먼 곳으로 이동할때는 점점 약해지거나 다른 신호와 섞여 변조 될 수 있다. 증폭..
네트워크란?어렸을 때 종이컵으로 간이 전화기를 만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. 한쪽에서 입으로 대고 말하면 다른 한쪽에서는 실의 진동을 타고 소리가 들리는 아주 단순한 기구이다. 만약 종이컵의 개수를 늘려 여러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게하면 어떻게 될까? 실의 진동이 나의 말을 담아 여러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. 실의 진동은 우리가 직접 들을 수는 없지만 어찌됐건 상대의 말이라는 정보를 담고있고, 우리는 종이컵이라는 기구를 통해 그제서야 진동을 말로 재해석해 들을 수 있다. 그럼 또 하나의 가정을 해보자. 간단하게 철수와 영희가 종이컵으로 전화놀이를 하고있다. 철수는 영희한테 이렇게 말했다. "거기있는 공을 나한테 던져줘." 영희는 공을 던져줬다. 이제 생각해보자. 철수가 종이컵(송신 장치)을 ..